본문 바로가기

Living Lab

(59)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 Business Model Canvas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비즈니스 계획의 필수 구조(템플릿)를 활용한 사업 전략과 결과물을 일치시키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의 공동 생성 및 시각화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프로젝트의 핵심 자원, 주요 활동, 비용 구조 정의와 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연구 데이터 output 프로젝트에 적용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구현 What is...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이란 프로젝트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며,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 또는 사업 아이디어를 뜻한다. 조직 구조, 프로세스, 소프트웨어,..
카드 분류하기 : Card Sorting 카드 분류하기 [Card Sorting] 카드 정렬을 통해 사용자가 이해한 정보와 개념을 파악하고 분류체계를 수립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프로젝트의 기본 컨셉, 용어, 부가기능 등이 적힌 카드 output 특정한 용어의 불분명하거나 다양한 의미를 명확하게 파악, 개인이 어떻게 큰 개념과 의사 결정의 동기를 분해하는지 이해, 사용자의 정보 체계에 적합한 시스템 구조화 방법 도출 What is... 카드 분류하기는 참가자가 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념을 다른 그룹으로 분류하고 연관성을 찾는 참여적 디자인 방법이다. 이를 위해 참가자에게 다양한 내용이 기재된 카드를 제공하여 카드를 분류하도록 하며, 분류 체계에서 항목 배치..
친화도법 : Affinity Diagraming 친화도법 [Affinity Diagraming] 정보기반의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수집된 정보와 분석된 결과들을 구체화 체계적으로 분류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와 정보, 자료 등 output 특성과 세부사항이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해결안 What is... 친화도법에서는 수집된 정보와 결과들을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연구 주제에 따라 정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나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얻은 통찰, 관찰 사항, 염려하는 점, 필요 사항 등을 나열하고 분석하고 분류하여 연구의 주제를 정리하는 방법으로 정보에 기반한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제공한다. 특히 연구 자료를 수많은 단편적 자료나 현상이 ..
기대치 지도 : Expectation Maps 기대치 지도 [Expectation Maps] 사용자의 사용 여정에서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기대치 시각화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What is... 기대치 지도는 사용자가 대상 제품이나 서비스, 경험과 상황에 갖는 기대를 조사하고 도식화하는 것이다. 이 지도는 특정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거나 어떤 서비스 범주의 일반적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며, 최종 사용자의 예상된 기대를 다각도로 탐구하는 방법이다. 특히 기대치 지도는 미래의 경험이나 제품, 서비스가 어떤 모습일지에 대해 가지는 고객 이상향과 요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반면에 공감 지도는 사람들의 현재 또는 과거의 경험을 탐구할 수 있다. How to... 기대치 지도를 작..
일기 연구 : Diary Studies 일기 연구 [Diary Studies] 사용자의 일상과 활동 기록 수집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사용자의 일상과 활동 output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What is... 일기 연구는 일기장이나 일지를 이용하여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그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느낌, 행동 등을 기록하여 손쉽게 표본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이 조사의 목적은 고객이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시간 외에도 일상적인 일과에서 어떤 생각과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개요를 얻는 것이다. 일기 연구는 문화 조사(민족지학적 연구)에서 영감을 얻은 연구 방법으로, 참가자들에게 정해진 기간에 특정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보고하도록 요청한다. 일기..
민족지학 연구 : Ethnography 민족지학 연구 [Ethnography] 현장 노트, 오디오 녹음, 비디오 및 사진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경험하고 사용자와의 공감대를 형성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경험표집방법, 일기장과 사진 연구, 문화 조사, 맥락적 연구 혹은 참여관찰 같은 다양한 형식의 관찰 output 사용자와 그들의 삶과 언어, 행동, 사용하는 물건 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연구 자료 What is... 민족지학은 생산적 연구와 콘셉트 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생활과 문화를 깊이 이해하여 통찰을 얻는다. 꾸미지 않은 본래의 환경 안에서 상세한 관찰, 자유로운 인터뷰, 문서 분석 등을 토대로 하여 사람들의 문화를 서술적으로 설명한다. 관찰하기 전에는 특정 문제,..
문화 조사 : Cultural Probes 문화 조사 [Cultural Probes] 사용자 관점에서 (프로젝트의 대상이 되는) 연구주제에 대한 정보 수집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프로젝트의 목표, 잠재적인 정보가 있을 만한 소스, 조사 지침서(가이드) output 조사내용이 작성된 문서, 사진, 비디오, 오디오 녹음 등 What is... 사용자 참여를 원칙으로 하는 문화 조사는 참여자들에게 탐구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직접 자신의 삶(생활), 환경, 생각, 상호작용 등에 관한 자료를 만들어낸다. 문화 조사에서는 엽서, 지도, 일기, 카메라, 녹음기, 개인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다양한 글과 사진 등이 포함된 문화 조사는 흔히 자문화기술지, 일기, 모바일 민족학 ..
설문조사 : Surveys 설문조사 [Surveys] 사람들의 생각, 느낌, 행동, 태도 등을 스스로 기술하게 하여 자료 수집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연구와 관련된 질문으로 이루어진 개방형 혹은 폐쇄형 질문지, 인터뷰 output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비용·고효율의 자료, 정성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생각이나 선호도의 정량화 What is... 설문조사는 사람들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주로 대규모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다. 주로 참가자가 질문지에 답변을 작성하는‘질의 응답지’와 직접 만나거나 전화로 참가자에게 질문을 하는 ‘인터뷰’의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실제적인 요소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힘들 수 있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