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ving Lab

(59)
[벨기에] 의료 네트워크 LiCalab 의료 네트워크 LiCalab [LiCalab, Living and Care Lab] LiCalab은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자들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헬스케어 리빙랩으로, 거주하는 생활 환경에서 최종 사용자와의 혁신을 테스트하고 검증함으로써 보건 및 의료 부문의 비즈니스와 조직을 지원한다. |LiCalac의 운영원칙| 1) Co-creation workshops 공동 창작 워크숍을 운영하여 최종 사용자가 개발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서 혁신에 참여하도록 한다. 특히 정부(Stad Turnhout), 기업(VOKA Kempen and VOKA Health Community), 대학(Mobilab, Thomas More 전문대학), 헬스케어 기관(Welzijnszorg Kempen) 간의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마트시티 'iBeacon Mile' 아이비콘마일 리빙랩 [iBeacon Mile of Amsterdam Smart City Platform] 네덜란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의제를 검토하고 행정과 전문가, 민간기업 협력의 스마트도시 건설 이행방안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네덜란드의 스마트 시티는 도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 도입을 목표로 움직이고 있다. |ASC, Amsterdam Smart City Platform| 암스테르담 스마트 시티 플랫폼은 6가지 분야를 선정하여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2,000명의 인력, 90개의 파트너 및 100개 이상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iBeacon Mile 프로젝트|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iBeacon Mile은 중앙역에서 시작하여 2km 가량 떨어져있는 M..
[연구보고서]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보는 세 가지 관점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보는 세 가지 관점 [Three Frames of Societal Challenge-driven Innovation] 이 글에서는 최근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바라보는 관점들을 검토한다. 리빙랩이란 무엇인가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과제에 최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리빙랩이다. 하지만 그 이전에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과제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바라보는 관점들에 대해서 정리한 송위진 박사님의 연구보고서를 소개하고자 한다. 송위진박사는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과제를 주도적으로 연구하고 다양한 국내외 사례 및 방법론을 연구하고 컨설팅해 온 국내 최고의 전문가 중 1인이다. 오랜 기간 관련 ..
[ENoLL]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ENoLL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유럽과 전 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리빙랩 활동의 국제 연합 EnoLL은 2006년 11월 유럽연합(EU)의 핀란드 대통령하에 설립되었다. 유럽의 경쟁력을 높이고 현대 사회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사회로의 혁식을 이끌어가기 위하여 살아있는 실험실(Labor of Living Labs)을 구축하여 사용자가 혁신 프로세스에 참여하고 기여하는 협업적이고 창조적인 혁신을 위한 유럽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리빙랩 활동은 리빙랩 데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국가의 활동을 지속해서 공유하고 있다 https://enoll.org/ Home -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The European Network of Li..
[현장답사보고] WISE Living Lab, 도큐전철 WISE Living Lab, 도큐전철 [WISE Living Lab さんかくBASE] WISE Living Lab은 “차세대 교외 마을 만들기”의 활동 거점이며, 주민·행정·기업·대학이 지역의 과제를 공유하고 해결을위한 아이디어를 함께 생각하고 구체화 해 나가기위한 공동 창조의 장 설립 배경 요코야마시 아오바구는 시부야에서 20분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가나가와현), 큰 규모의 타마플라자역과 쇼핑몰, 뛰어난 자연환경으로 살기 좋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오바구 개발에 중심이 되는 도큐 전철은 도쿄를 기반으로 하는 철도회사(전철 운영)이나, 개발 방법이 마을을 구축한 뒤에 철도라인을 개설하기 때문에 회사 자체는 철도와 마을 만들기 두가지 키워드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1960년대에 개발된 교외 ..
사회문제해결형 과제의 리빙랩 사회문제해결에서의 리빙랩 연구재단과 같은 기술연구형의 ‘사회문제해결형 과제’에 있어서의 리빙랩은 사회혁신의 리빙랩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실제 환경 혹은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실험 또는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는 장소와 참여자, 프로세스라고 해석하는 것이 가장 가깝다. 리빙랩에 대한 역사를 기록한 수많은 책자를 보면 MIT의 미첼(W.Mitchell) 교수의 플레이스 랩(Place Lab)을 들고 있다. 플레이스 랩은 MIT가 2000년 전후로 시작한 ‘새로운 기술들과 디자인 방법, 그리고 건설 과정에서 거주자들의 요구를 더 많이 대응할 수 있는 주거공간을 어떻게 창출할까’를 연구했던 하우스앤(House_n) 다학제 융합연구 그룹의 연구시설 중 하나이다. 더보기 하우스앤(House_n) 프로젝트는 2..
리빙랩의 정의 다양한 기관과 전문가들이 정의하는 리빙랩, 리빙랩의 정의 리빙랩(Living Lab)은 단어 그대로 살아있는 생활실험실을 의미한다. 우선 다양한 기관과 사람들이 내리고 있는 정의를 살펴본다. ENoLL(The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연구와 혁신 프로세스를 실생활 커뮤니티 및 환경에 통합하는 체계적인 사용자 공동 창조 접근법에 기반한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 정의된다. 윤찬영,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센터장 말 그대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현장 곳곳을 실험실로 삼아 다양한 사회 문제의 해법을 찾아보려는 시도를 가리킨다. 삶의 현장이 실험실이니 당연하게도 그곳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 모두가 실험의 참여자이자 설계자이고, 해법을 찾아내야 하는 주체다..
호감도 테스트 : Desirability Testing 호감도 테스트 [Desirability Testing] 사용자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디자인 및 기능에 대한 적합도 분석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프로토타입 또는 시제품, 사용자의 반응 output 사용자의 반응을 통한 구성 요소 선호도 What is... 사람들은 대부분 어떤 제품을 처음 접하는 몇 초 안에 그 제품에 대한 판단을 내린다. 대부분 순간적인 판단과 결정은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선호도는 감정적인 반응으로,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디자인적 요소를 찾고 표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호감도 테스트는 바로 이런 감정의 영역을 연구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단순히 최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