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thods_R&SD/문제 정의

민족지학 연구 : Ethnography

민족지학 연구

 [Ethnography]

 

 

현장 노트, 오디오 녹음, 비디오 및 사진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경험하고 사용자와의 공감대를 형성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경험표집방법, 일기장과 사진 연구, 문화 조사, 맥락적 연구 혹은 참여관찰 같은 다양한 형식의 관찰
output       사용자와 그들의 삶과 언어, 행동, 사용하는 물건 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연구 자료

 

What is...

민족지학은 생산적 연구와 콘셉트 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생활과 문화를 깊이 이해하여 통찰을 얻는다. 꾸미지 않은 본래의 환경 안에서 상세한 관찰, 자유로운 인터뷰, 문서 분석 등을 토대로 하여 사람들의 문화를 서술적으로 설명한다. 관찰하기 전에는 특정 문제, 이론이나 모델, 연구 설계, 자료 수집 기법, 분석 도구, 기록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있어야 한다. 

 

How to...

민족지학 연구를 위해 몇 달 혹은 몇 년에 걸쳐 어떤 문화나 특정 집단에 직접 소속되어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험 표집 방법, 일기장과 사진 연구, 문화 조사, 맥락적 연구 혹은 참여관찰 같은 다양한 형식의 관찰 방법을 동원하여 참가자로부터 실제 경험의 표본을 얻는다. 따라서 민족지학은 다양한 연구 방법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접근 방법으로, 사용자와 그들의 삶과 언어, 행동, 사용하는 물건 등을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문화적 패턴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민족지학 연구는 연구자와 참여자의 역할이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의 발달로 인해 직접 연구 대상을 대면하지 않고 웹상에서 관찰하는 방식의 모바일 민족지학(Mobile Ethnography) 또는 온라인 민족지학(Online  Ethnography) 연구가 가능하다.

 

참가자         연구자 최소 1인(접근 방식에 따라 관찰인원 상이)

준비물         컴퓨터, 노트북, 음성 기록 장치, 카메라, 스크린샷 및 스크린캐스트를 위한 소프트웨어(사용계약)

소요시간      준비 : 1시간~1주(접근 및 접근성에 따라 상이)
                   활동 : 1시간~12주(연구 목표 및 접근 방식에 따라 상이)
                   후속 조치 : 1시간~2주(수집된 자료의 양과 유형에 따라 상이)

민족지학(문화기술지)과 자문화기술지의 차이

더보기

민족지학은 문화를 공유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며, 자문화기술지는 한 개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는 데 차이가 있다.

관찰자효과(Observer Effect)

더보기

자연과 사람사이에서 일어난 상호작용을 다루는 학문으로 관찰자가 제각기 창조한 서로 다른 결과를 재창조와 왜곡을 통해 대상자를 바라보는 것을 뜻함

 

Steps,

  1. 구체적인 연구 개요 정의 : 프로젝트의 주제에 관한 질문이나 알고 싶은 것을 정의한다. 연구의 이유(탐험적 vs. 확인적 연구)와 연구 결과를 어떻게 도출하고 표현할지를 정의한다.

  2. 계획 및 준비 : 연구 질문에 기초하여 언제 어디서 연구를 수행할 것인지를 규정한다. 참여관찰과 같은 일련의 대상자를 포함하는 참여적 연구를 위해, 연구자로서 누구를 포함하고 싶은지, 어떻게 접근할지(공개적/비공개적), 어떤 기대치와 경험을 대상으로 설정할지, 어떻게 지시를 내릴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한지 지침을 작성한다. 필요하면 현장 노트와 함께 음성 녹음, 사진 또는 비디오를 촬영하기 위해 법적 동의가 필요하다.

  3. 자가 학술 수행 : 자가 학술은 단계를 구분하여 작성하도록 한다. 첫 번째 단계로 보고 듣는 것을 객관적으로 작성한 기초 자료를 의미하고, 두 번째 단계는 경험하는 것을 어떻게 느끼거나 어떻게 해석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즉 노트에 기재할 때에 두 가지 모두를 따로 기록하도록 하고, 관찰자 효과를 유의해야 한다. 연구목적에 따라 내용의 깊이와 시간 투자는 며칠에 걸쳐서 때로는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4. 후속 작업 : 관찰 뒤에 개별 주요 학습 내용을 작성하고, 다른 연구자와 함께 연구했다면 이를 비교해본다.

 

Why...

민족지학 연구는 참여자들이 스스로 터치 포인트를 정의하고 그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관점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자료는 이후 발견한 내용을 분석하고 도식화하는 데 효율적이다.
민족지학에서 자료 해석은 이용 방법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부분 사용자와 연구 중인 프로젝트의 대상과 범위, 주제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에 중점을 둔다. 종합적인 관점을 얻기 위하여 연구 자료에서 드러나는 패턴과 일관된 주제를 해석하고, 생산적 연구(generative research)와 콘셉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시사점과 가이드라인을 명확히 해야 한다.

 

 

Add

연구자는 연구내용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되 머리까지 비워서는 안 된다. 그 분야에서 첫 질문을 던지기 전에 특정 문제, 이론이나 모델, 연구 설계, 수집 기법, 분석 도구, 기록 방법 등에 대한 계획이 있어야 한다.

 

 

 

마르크 스틱도른ㆍ야코프 슈나이더, 「서비스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2012
벨라 마틴ㆍ브루스 해닝턴, 「디자인 방법론 불변의 법칙 100가지」, 고려문화사, 2013
https://designmethod.korea.ac.kr/design-method
https://www.thisisservicedesigndoing.com/methods/autoethnography
https://www.thisisservicedesigndoing.com/methods/online-ethnography

'Methods_R&SD > 문제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대치 지도 : Expectation Maps  (0) 2020.05.22
일기 연구 : Diary Studies  (0) 2020.05.22
문화 조사 : Cultural Probes  (0) 2020.05.22
설문조사 : Surveys  (0) 2020.05.22
아에이오우 : AEIOU  (0) 2020.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