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thods_R&SD/프로토타이핑

(13)
프로토타이핑 : Prototyping 프로토타이핑 [Prototyping] 연구자 혹은 이해관계자, 사용자와 함께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다양한 완성도의 물건을 실제로 제작하고 테스트하는 등 초기에 커뮤니케이션하여 구체화하는 방법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제품의 시험 운영(시뮬레이션)을 위한 테스트 모델 output 실제로 구현된 제품이나 인터페이스의 초기 프로토타입 개발, 테스트를 통해 도출되는 연구 자료(오류, 새로운 대안, 사용성 평가) What is... 프로토타이핑은 개발이나 디자인팀 내부에서 혹은 클라이언트나 사용자와 함께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발전시켜나가기 위해 다양한 완성도의 물건을 실제로 제작하는 방법이다. 실제 디자인과 제작 과정..
개념 모형 : Concept Walkthrough 개념 모형 [Concept Walkthrough] 단계별 가상 여정을 통해 잠재적인 사용자 또는 공급자에게 서비스 아이디어 공유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프로세스 및 이해관계자의 여정, 프로젝트에서의 기능적ㆍ기술적 요소 output 초기 학습 내용을 적용한 제품 및 서비스 환경을 축소한 모형 What is... 개념 모형은 서비스 설계의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개념모형은 간단한 도구나 3D 모형(흔히 레고 벽돌이나 판지 활용)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신속하게 시뮬레이션하고 일반적인 시나리오와 대안을 테스트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개념 모형을 사용하여 일부 사용자 또는 전문가에 새로운 개념을 안내하고 의견을 ..
만약에 : What If 만약에 [What If] 미래 서비스 시나리오 탐구를 통해 예상되는 문제와 이슈를 결정하고 결과를 식별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미래 서비스 시나리오 output 예상되는 문제와 이슈, 대응 방안 What is... 만약에는 프로젝트 초기에 시나리오를 탐구하여 다양한 오류 원인을 사전 안건으로 제기하는 방법이다. 또한 프로토타입이나 사용성 테스트와 같이 평가 프로세스의 거의 모든 시점에서 오류나 예상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분석 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 “What if”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 근거하여 해당 오류의 수용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판단 할 수 있다. 해결할 수 없다고 간주하는 오류 또는 문제 요인에 대해 조치 과정을 마련..
시나리오 : Scenarios 시나리오 [Scenarios] 관련한 사례와 가상의 상황을 통해 맥락적으로 구상된 핵심요소에 대한 경험 설명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설정된 컨셉이나 제품 혹은 서비스가 사용되는 환경이나 조건, 사진, 그림 등이 결합한 페르소나 output 현실적으로 반영된 실제 상황에서 컨셉(기능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등)이 어떻게 발생할지 시나리오 설정 What is... 컨셉을 탐구할 때, 제품, 서비스 또는 웹 사이트와 사용자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현실 세계에서 작동할 상황을 시각화해 보는 것은 매우 용이하다. 시나리오는 사용자의 시점에서 쓴 제품의 가상 사용기로, 해당 제품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주는 특정 측면을 조사하..
페르소나 : Personas 페르소나 [Personas] 사용자들의 집단을 예시하는 원형으로서 인간 중심적인 관점에서 정형화한 가상 인물에 대한 시나리오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여러 유형별 사람에 대한 정보와 행동 양식에 따른 종합된 공통점 output 특정 사용자 집단의 공통 양식이 반영된 결과물로 공감을 불러오는 스토리텔링이나 인물 초안 What is... 페르소나는 사용자의 전형적인 행동 유형을 대표 특성별로 통합해놓은 것으로, 프로젝트에서 활용하는 가상의 인물로 보통 공통된 관심사를 가진 특정 그룹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기는 어려우나 일정한 통합 과정을 거쳐 총체적인 행동 양식을 가진 대표 인물상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