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thods_R&SD/문제 정의

(15)
사용자 경험 조사 : User Experience Audit 사용자 경험 조사 [User Experience Audit] 최종 사용자가 일상 속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파악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사용 전, 사용 중, 사용 후의 단계의 경험 관찰과 인터뷰 결과 output 사용자가 경험하는 상황과 행동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가이드라인, 혁신적인 제품에 대한 영감 What is... 사용자 경험 조사는 사용자가 마주하는 수많은 사용 지점(과 터치 포인트)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이다. 경험 조사는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여 목적에 도달하고 달성할 때,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
포커스 그룹 : Focus Group 포커스 그룹 [Focus Group] 선별된 집단을 대상으로 특정 주제(제품, 서비스, 상품, 개념, 문제, 프로토타입, 광고, 행동양식, 트렌드)에 대한 질적 인터뷰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선별된 소수의 참가자 집단 output 트랜드나 이슈, 행동양식 등에 대한 도출 결과 또는 문제의식 What is... 포커스 그룹은 소수의 참가자와의 집중적이고 깊이 있는 대화를 통하여 정보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주로 표적시장으로 예상되는 소비자를 주제와 자격 기준에 따라 모집하여 제품, 서비스, 마케팅 캠페인, 브랜드 등에 대한 의견, 느낌, 태도를 측정하는 정성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 그 외에도 관련 전문가 집단을 통해 문제의 트..
개념지도 : Concept Mapping 개념지도 [Concept Mapping] 새로운 개념 학습하고, 기존의 이해 체계의 재정리를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발견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특정 분야와 관련하여 수집된 모든 자료, 정의가 필요한 핵심 질문 output 상하 관계가 조절된 개념 키워드 간의 연결고리와 계층 파악 What is... 개념지도는 특정 분야에 관련된 수많은 관념, 사물, 사건 등을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체계화하는 도구이다. 연구자는 개념지도를 이용하여 복잡한 시스템을 시각화하고 연결고리를 만들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이미 존재하는 연관성까지 개념을 확장하거나 연결고리를 수정하여 당연시되는 개념을 수정·보완할 수 있다. 새롭게 정의된 개념은 이미 정립..
고객 라이프사이클 지도 : Customer Lifecycle Maps 고객 라이프사이클 지도 [Customer Lifecycle Maps]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종합적인 관계 파악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고객의 선택에서 사용까지 전 과정에서의 경험 output 고객 경험에서의 종합적인 관계 분석 What is... 고객 라이프사이클 지도는 고객이 서비스를 처음 접하는 순간에서 최종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종합적인 관계를 시각화한 여정 지도를 말한다. 사용자 경험이 성공적인 제품 개발의 핵심인 것처럼 고객 경험은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중요 열쇠로 작용한다.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고려한다는 ..
사용자 여정 지도 : User Journey Maps 사용자 여정 지도 [User Journey Maps] 총체적 서비스 과정에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시각화하는 방법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으로부터 직접 얻은 정보 output 사용자가 경험하는 행동, 감정, 인식, 기분에 대한 작성된 여정 지도 What is... 사용자 여정 지도는 사용자가 일정 기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단계마다 사용자가 각각의 순간을 개별적으로 평가하고 향상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경험하는 행동, 감정, 인식, 기분 등을 보여주는데 이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 혹은 중립적인 순간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여정 지도는 어떤 상호작용이 ..
이해관계자 지도 : Stakeholder Maps 이해관계자 지도 [Stakeholder Maps] 프로젝트에 관련된 주요 이해관계자들을 시각적으로 구성하여 역할과 상호 역학관계 파악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프로젝트 영역 내에 포함된 모든 이해관계자 output 참여전략 도출에 활용 가능한 이해관계자의 역할 및 역학관계 What is... 이해관계자 지도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주요 이해관계자와 그룹들을 시각적으로 구성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역할과 역학관계를 도식화해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중심 연구와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사용자, 조직 및 서비스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주요 역할을 파악하여 종합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프로젝트 초기의 기획, 조사, 정의 단계..
문헌 연구 : Literature Reviews 문헌 연구 [Literature Reviews] 주어진 주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수집하고 내용을 종합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What is... 문헌 연구는 주어진 주제 또는 선택한 주제 영역에 대한 2차 연구 방법 중 하나로, 논문작성 뿐만 아니라 디자인 프로젝트를 위한 연구나 실무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문헌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발표된 자료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프로젝트 진행에 도움이 될 만한 핵심과 사용 가능한 결과를 포착하여 각 자료 간의 연관성을 이어나가는 통합적인 방식으로 수렴해나가도록 한다. 문헌 연구는 독립적으로 시행할 수도 있지만, 주로 더 큰 규모의 연구 논문이나 프로젝트의 일부로 시행한다.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