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thods_R&SD/파일럿 검증ㆍ도출

과제분석 : Task Analysis

과제분석

 [Task Analysis]

 

 

사용자의 작업 과정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행동, 상호작용, 시스템 반응, 환경적 맥락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작업 과정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인터뷰 및 관찰 내용, 사용 가능한 툴
output       사용자의 행동과 작업 과정에 대한 이해

 

What is...

전통적인 과제 분석은 시스템을 사용하며 사용자들이 겪게 되는 상호작용에 대하여 과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사용자들의 행동, 행동에 따른 제품이나 시스템의 움직임과 반응, 시스템의 피드백, 작업의 맥락 등 주요 요소를 각각 별개로 인지하고 분석한다. 주로 순서도나 다른 구조화된 시각적 방법으로 분석한 내용을 표현하며, 주요 작업과 부차적인 작업, 중요한 결정의 순간, 사람과 시스템 사이에서 상호작용의 순환과 상호작용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석 과정은 산업 공학, 과학적 관리법, 초기의 인적 요소와 관련된 시간과 운동성 연구에서 유래했다.
과제분석은 맥락적 연구와 유사한 면이 있는데, 이는 관찰이나 인터뷰를 비롯한 동일 방법들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맥락적 연구는 사용자의  행동, 전체적 맥락 속에서의 의사 결정 과정과 상호작용 등 전반적인 면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데 반해, 과제 분석은 오로지 과제 자체에만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과제 분석에서 인터뷰와 관찰은 선택 가능한 사항이나 사용 가능한 출력, 선택 사항 등에 초점을 맞춘다. 아울러 결정을 내리는 순간에 흔히 저지르는 실수를 파악하고 정정하기, 입력과 출력 사항, 작업의 빈도와 중요성, 실패의 위험 등을 포함한다.

 

How to...

과제 분석은 과제를 구성 활동을 나누어보는 과제 분해를 적용하여 실행할 수도 있고, 주요 과제와 부과제를 파악하고 분류하여 모형이 가진 정확도를 확인하는 '계층적 과제 분석(Hierarchical Task Analysis)'을 적용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과제 분석 과정에서 활동을 분류할 때는 분석의 목적, 단서, 제품, 방법, 선택 가능한 사항 등과 같은 분류 체계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작업을 구성하는 활동들을 하나의 상하 체계 안에 배치해나가다 보면 익숙한 수형도나 순서도 같은 형태를 얻게 되는데, 이는 해당 작업에 익숙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모형(walk-through) 테스트로 검증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계자 시나리오와 업무 우선순위를 시각화한 과제 분석표, 각 세로 행에는 위에서부터 시나리오, 과제 설명,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차적인 과제 등을 적어 내려간다. 부차적인 과제의 색깔을 각각 다르게 표시하고 우선순위도 표기한다.

 

참가자         연구자 최소 1인

준비물         관련 결과물 사양서, 시나리오, 서비스청사진 등

소요시간      사용자 목표당 2~3시간

 

 

Steps,

  1. 사용자 목표 파악 : 사용자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해야 할 대상 사용자의 목표를 파악한다.

  2. 시나리오 확인 : 각 목표에 대해 공통 시나리오와 사용자 또는 시스템이 각 시나리오에서 수행할 작업 및 결정을 확인한다. 사용자의 활동을 행동, 행동에 따른 제품이나 시스템의 움직임과 반응, 피드백, 작업의 맥락 등 각각의 주요 요소로 분류하여 정리한다. 

  3. 사용자의 과제흐름도 제작(시각화) : 목표를 향해 가면서 사용자가 마주칠 수 있는 각 업무와 의사결정 지점을 포함하는 도표를 작성한다. 과제 흐름도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도형 언어가 있지만, 기본적인 모양은 과제와 결정점에 대한 상자의 흐름도와 과제 사이의 방향성과 의존성을 보여주는 화살표다

  4. 피드백 : 사용자 또는 주제 목표와 관련한 전문가와 협력하여 관심 영역, 위험 영역 또는 잠재적인 불안 요소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작업 흐름도에 주석을 추가하는 등 피드백을 작성한다.

 

Why...

설계 팀의 사용자 목표, 일반적인 시나리오 및 작업에 대한 이해를 검증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이다. 특히 사용자가 진행하는 전체 작업 흐름에서 프로젝트의 목표와 관련된 사항의 누락이나, 불필요한 사항의 첨가, 장애물 등을 발견할 수 있다.

 

 

 

벨라 마틴ㆍ브루스 해닝턴, 「디자인 방법론 불변의 법칙 100가지」, 고려문화사, 2013
https://methods.18f.gov/decide/task-flow-analysis
http://designmethod.korea.ac.kr/design-method/task-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