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분석
[Keyword Analytics]
웹사이트에 입력된 단어나 문구를 분석하여 사람들이 가지는 욕구와 욕구 충족 여부 등 평가
│문제 발굴│문제 정의│대안 탐색│전략사업화│수행계획 수립│프로토타이핑│파일럿 검증ㆍ도출│
input 웹사이트 방문자에 대한 활동 정보
output
What is...
키워드 분석은 웹사이트(검색엔진 등)에서 검색어 등으로 입력된 단어나 문구를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키워드 분석은 현재 웹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에 대하여 더욱 깊이 이해하고 그들이 원하는 정보를 발견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키워드 분석은 최근의 트랜드를 이해하고, 관련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편적으로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성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더 오래 머물고 전환율을 높여 궁극적으로 사용자 만족도와 이용률을 상승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다.
How to...
웹사이트의 데이터를 분석할 때에는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모두 가능하며, 이러한 특성은 정성적 자료를 다루는 연구자와 정량적 자료를 다루는 연구자가 한 조직 내에서 함께 작업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정성적 자료를 다루는 연구자들은 웹사이트에서 사람들이 원하는 정보와 의도가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품질을 평가하고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프로젝트 초기 과정이라면 제품 필수요소 보고서(Product Requirements Documents, PRDs)에 검색 분석을 추출하고 보고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한다. 이는 불필요한 노력을 막고 개발자의 시간을 절약해준다. 만약 디지털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고 검사하는 과정이라면 웹사이트 검색 결과와 조직의 핵심성과지표를 연관시켜보는 기회로 삼도록 한다. 검색 결과를 얻지 못한 경우의 비율, 검색 결과를 클릭한 비율, 검색 후 웹사이트를 떠난 비율(검색 반송률 혹은 검색 종료율 등으로 표현된) 등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주의 깊게 살펴야 하는 정보이다.
참가자 연구자 최소 1인
소요시간 1시간~1일(분석 데이터의 양에 따라 상이)
Steps,
단순하게는 키워드 분석으로 통해 주제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축약할 수 있다.
키워드 분석 웹페이지
-
네이버 데이터랩 https://datalab.naver.com : 온라인 사용자의 검색어 동향 및 키워드 조회수 분석(csv파일 다운로드 제공)
-
구글 트렌드 https://trends.google.com/trends : 전 세계 자료(국가별, 지역별 적용 및 비교 가능)를 인포그라피로 제공, 키워드 비교를 통한 분석 가능,
-
썸트렌드 https://some.co.kr : 키워드 분석, 연관어 맵 제공, 키워드에 대한 긍정/부정, 감성, SNS 피드 소개
-
오디피아 https://odpia.org/main.odpia : 소셜 분석(소셜맵), 공공데이터, 앱 서비스 테이터 분석 교육 서비스 제공
-
블랙키위 https://blackkiwi.net : 포털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하여 검색 동향, 연관 키워드, 유사 키워드, 월간 검색량, 월간 콘텐츠 발행량, 키워드 포화 지수 제공
-
에스트리 https://www.s-tree.co.kr : 포털 검색어 동향(유료)
Why...
검색엔진을 활용한 웹사이트 키워드 분석 결과의 단편적으로는 트렌드 이해, 관련 요소 모음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정 애플리케이션 분석에서는 전체적인 실행 능력을 검사하고 평가하며 향상하는 것을 돕고, 사용자 활동 사항과 데이터를 사업 목표와 지속해서 일치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Add
참가자들은 종종 그들이 관찰되었다고 느낄 때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다르게 행동한다. 참가자의 관찰조사 동안에 연구자와 참가자 사이의 신뢰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자는 상황에 따라 회고적 인터뷰와 같은 다른 방법을 혼합할 수 있다. 비디오 촬영은 연구자가 인터뷰 도중에 잊고 지나갈 수 있는 세세한 사항을 담아낼 수 있으므로 관찰과 후속 인터뷰 과정에서 자주 사용된다. 참가자의 관찰조사 동안에 신체 언어와 같은 비언어적 표현을 해석함으로써 사람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무엇을 하지 않는지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자인 방법론 불변의 법칙 100가지 / 벨라 마틴, 브루스 해닝턴 / 고려문화사(고려닷컴)
http://designmethod.korea.ac.kr/design-method/trends-expert-interview
'Methods_R&SD > 문제 발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찰 : Observation (0) | 2020.05.22 |
---|---|
인터뷰 : Interviews (0) | 2020.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