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hat is?

리빙랩의 정의

다양한 기관과 전문가들이 정의하는 리빙랩,

 

 

리빙랩의 정의

리빙랩(Living Lab)은 단어 그대로 살아있는 생활실험실을 의미한다.

우선 다양한 기관과 사람들이 내리고 있는 정의를 살펴본다.

 

 

ENoLL(The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

연구와 혁신 프로세스를 실생활 커뮤니티 및 환경에 통합하는 체계적인 사용자 공동 창조 접근법에 기반한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 정의된다.

 

 

윤찬영,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센터장

말 그대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현장 곳곳을 실험실로 삼아 다양한 사회 문제의 해법을 찾아보려는 시도를 가리킨다. 삶의 현장이 실험실이니 당연하게도 그곳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 모두가 실험의 참여자이자 설계자이고, 해법을 찾아내야 하는 주체다.

 

 

100up 인사이트

리빙랩은 ‘사회 혁신(Social Innovation)’을 대표하는 방법론이다. 우리말로는 ‘생활 실험실’ 정도가 어울리는데, 말 그대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현장 곳곳을 실험실로 삼아 사회 문제의 혁신적 해법을 찾아보려는 시도를 가리킨다. 당연하게도 그곳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평범한 시민 모두가 실험의 참여자이자 설계자이고, 해법을 찾아내야 할 주체이다.

 

 

The Living Lab Methodology Handbook

리빙랩은 이용자 중심의 ICT 시스템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개념이다.

Living Lab 활동의 한 가지 전제조건은 그들이 조성된 실험실 환경이 아닌 실제 상황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Penny Evans, Dimitri Schuurman, Anna Ståhlbröst, Koen Vervoort, 'Living Lab Methodology Handbook', 2017

Living Labs는 다방면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육성하는 실천 중심의 조직이며, 개방형 기술혁신과 사용자 기술혁신 프로세스가 모두 연구되고 실험될 수 있는 실제 환경이나 영역, 그리고 새로운 솔루션이 개발되는 곳이다.

리빙랩은 시민, 연구기관, 기업, 도시 및 지역 간에 중개 기관으로 공동 가치 공동 창조, 신속한 시제품 제작 또는 검증을 위해 혁신과 비즈니스의 규모를 확대한다. 이러한 활동은 일반적으로 건강과 웰빙, 스마트 시티 및 순환 경제, 문화 및 창의성, 에너지 및 이동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여러 가지 다른 구현에도 불구하고 리빙랩은 접근법의 핵심인 특정 공통 요소를 공유한다.

다중 방법 접근법: 단일 리빙랩 방법론은 없지만, 모든 리빙랩은 다양한 사용자 중심의 공동 창조 방법론을 결합하여 그들의 목적에 가장 적합하도록 커스터마이징 한다.

 

 

보트니아 리빙 랩의 안나 스탈브뢰스트(Anna Ståhlbröst, Botnia Living Lab)

리빙랩은 특히 "최종 사용자에게 초점을 맞춘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복수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함으로써 실제 상황에서의 혁신의 공동창조에 초점을 맞춘 개방형 혁신 프로세스의 조정자"이다.

 

 

디미트리 슈우르만(Dimitri Schuurman), imec.living labs

리빙랩은 오픈·사용자 혁신 원칙을 준수하고 실생활 실험에 집중하는 혁신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다중 이해관계자 조직이다.

 

 

페니 에반스, 브리스톨 리빙랩(Penny Evans, Bristol Living Lab)

'리빙랩'은 시민, 예술가, 기술자, 기업, 공공 부문 조직이 함께 모여 지역 과제를 해결할 아이디어, 도구, 기술을 공동 창조할 수 있는 곳이다. 혁신과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지만 리빙랩이 이해 관계자와 커뮤니티의 변화하는 요구에 유연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작업 프로세스에 반영과 평가가 구축되어 있다.

 

 

데이브 카터, 맨체스터 대학교 맨체스터 어반 연구소(Dave Carter, Manchester Urban Institute, University of Manchester)

나에게 리빙랩은 다양한 관심사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협업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공간이다. 리빙랩은 기술력을 공유하기 위한 창작공간이자 창의력을 공유하기 위한 기술공간이기도 하다. 이는 리빙랩을 매우 특별한 장소로 만든다.

 

 

赤坂文弥, 木村篤信, 리빙랩 방법론의 분석(リビングラボの方法論的特徴の分析), 日本デザイン学会 デザイン学研究, 2017

① 사용자의 장기적인 참여 : 사용자가 서비스 개발의 초기 단계(요구 명확화, 아이디어 창출)에서 종반(프로토 타입 검증)까지 장기적으로 관여한다. 1회 참가형 워크숍과는 달리, 여러 번에 걸쳐 참여한다.
② 파트너로서의 사용자 : 사용자 조사 및 실험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함께 서비스를 창출하는 파트너로 간주한다. ‘Design to Users’ 라는 공창(Co-creation)의 생각이 기반이 된다.
③ 실생활 환경의 이용 : 특히 '프로토 타입 테스트 및 개선 "의 단계를 사용자의 실생활 환경이나 그것을 모방한 공간에서 실시한다. 이렇게 하면 실제 사용 문맥이나 환경에 맞는 서비스를 개발한다.
④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참여 : 사용자, 기업, 정부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참여하여 함께 서비스를 만드는 장이다.

 

 

성지은・송위진・박인용, '리빙랩의 운영 체계와 사례',  2013.10

리빙랩은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혁신활동에 참여 가능한 사용자 주도 개방형 혁신 생태계이다. 생활 현장(real-life setting)에서 사용자와 생산자가 공동으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실험실의 의미이고, 혁신주체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그 결과가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개방형 혁신 네트워크의 대안적 모델이다.

리빙랩의 기본 요소로, 리빙랩 구조는 시스템 차원에서 ICT 인프라, 관리체계, 주체・행동 차원에서 사용자, 파트너, 연구 활동 등으로 구성요소 설정되고 기술혁신 과정에서 공동창조, 탐색, 실험, 평가 등의 행위가 리빙랩 특성(사용자 중심)과 결합되어 사용자 친화적 산물(제품・서비스 등) 개발 가능하다. ICT의 적극적인 활용은 사용자 참여 확대 및 협력, 융합주제 탐색을 통해 혁신 시스템 활성화와 지속가능성 강화에 기여한다.

'What 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문제해결형 과제의 리빙랩  (0) 2020.06.05
Living Lab은 무엇인가?  (0) 2020.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