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 리서치 기법의 한계
리빙랩 방법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초기 컨셉 개발 단계부터 사용자를 통해 해답을 얻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들에게 모든 것을 언어화하여 물어보기 어렵고, 질문지에 대답한 것을 모두 믿을 수 없다. 전통적인 조사기법으로 일반화된 정량적 시장조사 방식은 사용자 통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한계점이 있으므로, 보다 정성적이고 실험적인 시장조사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이해할 수 있는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정량조사는 대상자를 거대한 시장의 일부분으로 해석, 연구자가 설정한 가설을 계량적으로 밝혀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얻기 위한 방법론으로 양적 접근과 구조화된 질문지가 요구된다. Stage-Gate 프로세스 관점에서는 수치화와 대표성이 필요한 4,5단계(Marketing Stage)의 리서치 기법으로 적합하다.
정성조사는 대상자를 시장의 한 구성원으로서가 아니라 니즈와 욕구, 동기를 가진 개인으로 간주하며, 특정 주제의 견해에 대한 심리적 동인 혹은 무의식적인 행동을 발생시키는 근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기법이다. 컨셉 개발 단계에서 내부자(경영진, 개발자, 상품기획자)의 가설을 검증하는데 활용하는 언어적 접근 외에, 가설을 배제하고 사용자 행태에 기반한 관찰조사 등 비언어적 접근을 통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이 전통적 리서치와 차별화되는 컨셉 개발 기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사회문제해결형 과제를 위한 조사, 실험, 검증 방법론
사회문제해결형 과제는 연구의 출발 단계에서 양적 접근의 정량조사보다는 대상 사용자 개개인의 행태에 집중하는 디자인리서치 기법을 통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자의 가설과 함께 검증하여 성과물의 컨셉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는 사용자 참여형 리빙랩 도구를 통해 추진 가능하며, 특히 비언어적 접근 기법은 언어적 접근이 어려운 대상자(노유자, 장애인, 외국인 등)를 위한 과제 수행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사회문제해결형 과제 수행시 Stage-Gate Process별 리빙랩 도구로 다양한 리서치 기법을 계획하고 적용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과 위협요인(Risk), 실패비용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다양한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의 배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가 추구해야 할 리빙랩도 ICT에서 IoT로, 다시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로 새로운 기술이 더해지는 공간이 아니라, 실험실에서 도시 전체로, 사용자에서 시민으로, 과학기술 영역에서 사회의 모든 분야로 그 범위와 대상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차 확장되는 대상 범위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진단을 통한 기획, 실험, 실현을 지원하기 위해서 본 보고서에서는 혁신에 필요한 과정에 따라 필요한 도구들을 소개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사용되는 구체화된 도구들은 1)사회문제의 정의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Service Design)과 NPD 프로세스, 2)수요자 중심의 문제의 해결과 방안의 마련을 위한 반복적 학습과 실험을 유도하는 Design Thinking과 린 스타트업, 3)성과물(제품 또는 서비스 등 다양한 유형)관리와 상업화를 위한 지속적 책임자 및 제품관리를 위한 Stage-Gate 프로세스를 활용한다.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을 위한 프로세스
사회문제해결과 해결안 도출을 위해 '연구기획 - 연구수행 및 평가 - 실용화' 전 단계에 걸쳐 진행되는 방법과 활동을 사용자 중심 수행영역과 전문가 중심 수행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Method & Action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R&SD(Research & Solution Development)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과 연구개발을 위해 UCD(User Centerd Design)를 반영한 영구 방법을 정리하였다. 아래의 도구들은 전과정 또는 개별 단계의 목적과 성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진행하는 연구의 결과물을 사용자의 관점에서 개발하고, 또 다양한 시각으로 문제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결안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본 블로그는 2018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사회문제해결형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의 결과물입니다.